기타 ETC203 청년 희망사다리 패키지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정부는 33조 원 규모의 2021년 제2차 추경경정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청년 일자리나, 주택 등 청년 정책에도 많은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특히 청년 희망사다리를 구축하여 일자리, 창업, 주거, 생활. 금융 등 4대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목차 1. 청년 생활. 금융지원 2. 청년 주거비 부담 완화 3. 청년 일자리 지원 4. 역동적 청년 창업 생태계 조성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청년 생활. 금융지원 군 급식 - 7월 1일부터 급식단가가 8,790원에서 10,000원으로 13.8% 인상됩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 - 청년, 기업, 정부 3자 매칭을 통해 자산형성 지원을 확대합니다. 햇살론 - 저소득 청년, 대학생에게 3~4%대의 저.. 2021. 7. 10. 21년 2차 추경 고용 및 민생안정지원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정부는 2021년 2차 추경예산안에 고용 및 민생안정 지원에 대한 예산을 2.6조 원 편성하였습니다. 고용의 조기회복과 신규 일자리 창출이 주목적인데요. 일자리와 고용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현안을 좀 더 자세히 확인해보고 혜택과 지원의 폭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는 40만 명 이상 규모의 고용 조기회복을 위하여 지원을 뒷받침하며 그 인력 배치 상황을 보면 고용안전망 보안이나 고용유지 지원 등에 15.3만 명, 신규 일자리 창출에 16.4만 명, SW. 조선업 등 인력양성에 8.8만 명입니다. 해당분야의 예산편성과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목차 1. 고용유지 지원 등 고용안전망 보완 [15.3만명, 0.4조 원] 2. 신규 인력 창출 [.. 2021. 7. 9. 코로나 백신 부작용 피해보상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본격적인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간간히 부작용 사례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2021년도 추가경정예산에 백신 방역 보강 부분에 4.4조 원의 예산을 반영하였으며 그중 피해보상 등에 2.0조 원을 배치하였습니다. 피해보상 절차와 내용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는 예방접종 후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이상반응에 대하여 국가가 안전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 보상제도입니다. 피해보상 신청기준을 기존 본인부담금 30만 원 이상에서 금액 제한 없음으로 완화하는 등 피해보상 범위를 확대하였습니다. 피해보상 절차와 준비물 등 정부 정책을 알아봅니다.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절차 1. 부작용등의 이상.. 2021. 7. 3. 코로나 피해지원 3종 패키지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코로나 피해지원 3종 패키지는 누적된 코로나19 피해의 회복을 위해 15.7조 원(국비 13.4조 원)을 투입하여 국민들에게 지원하는 정부 지원정책입니다. 7월 1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상생과 피해회복 지원을 위해 33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안을 의결했습니다. 정부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상생과 피해회복을 지원을 위해 2021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의결했고 33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안에 포함된 코로나19 피해지원 3종 패키지를 내놓았습니다. 추진배경이나 추경의 특징 등도 중요하지만 가장 관심사인 주요 내용으로 바로 넘어가겠습니다.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목차 1. 소상공인 피해지원 1-1소상공인 손실 제도적 지원 1-2소상공인 희망회복.. 2021. 7. 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51 다음